자본시장연구원의 보고서 자료를 소개합니다.
연구보고서 13-05 2012.12.23
- 연구주제 금융산업
- 페이지 321 Page
Ⅰ. 서론
최근 증권사 순영업수익 감소 및 지속적인 수익성 하락으로 인해 우리나라 증권산업이 위기에 처해 있다. 최근 수년간 ELS/DLS를 중심으로 한 장외파생상품을 제외하고는 위탁매매 부문의 부진을 상쇄할 여타 사업 부문의 성장세는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본 보고서는 위기에 처한 현재의 우리나라 증권산업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해 보기 위하여 사업 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2020년 우리나라 증권산업의 규모를 각 사업부문별로 추정해 보고 자본시장 성장의 주역으로서 증권업계 전체의 성장전략과 역량 강화 방안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Ⅱ. 증권산업 환경 분석
현재 국내 금융산업은 인구고령화와 저성장?저금리라는 두 개의 메가트렌드(mega trend)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했으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국내총생산(GDP)은 2000년~2007년 사이 연평균 5.2%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08년~2012년 사이에는 연평균 2.9%로 급감했다. 향후 국내 경제가 다소 회복될 것으로 보이지만 2013년~2020년 GDP 연평균 성장률은 3.5%로 추정되어 중장기적으로 저성장 국면 진입이 예상된다.
인구고령화와 저성장?저금리 현상은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국내 금융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증권사 입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위탁매매 등 일부 업무에 있어 중대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한편, 자산관리, M&A 자문 등의 업무에는 새로운 기회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Executive Summaryxiv
Abstractxxxii
I. 서론3
II. 증권산업 환경 분석9
1. 거시경제 환경 분석 (장정모)9
2. 증권산업 환경 변화 (최순영)16
3. 증권산업 SWOT 분석 (이석훈)20
III. 증권산업 현황 및 2020년 시장 전망37
1. 위탁매매 (이석훈)38
2. 투자은행 (박용린?이석훈)60
3. 자산관리 (최순영)118
4. 장외파생상품 (박용린)147
5. 프라임브로커리지 (장정모)174
6. 기업신용공여 (장정모)192
7. 종합 (박용린 외)197
IV. 증권산업 2020년 비전 및 실행계획201
1. 비전달성을 위한 증권산업 발전 방향 (박용린)201
2. 사업부문별 성장전략 및 실행계획 (박용린 외)232
3. 증권산업 발전을 위한 규제 개선사항 (박용린 외)251
참 고 문 헌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