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재일 :2011. 12.
- 페이지수 : 표지포함 총 8매
- 담당자 :펀드연금실장 김재칠
T. 02)3771-0663
□ 한국형 헤지펀드의 시장조성 환경에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혼재한 가운데, 초기에는 위험성향이 강한 개인 고액자산가(HNWI)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다가, 점차 기관투자자들이 핵심 수요층으로 부각될 전망
□ 헤지펀드와 기존의 일반 공사모 펀드가 유사한 패턴으로 동시에 성장하는 건전한 시장환경을 전제로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규모는 다음과 같이 예상
― 도입 5년 후인 2016년에는 시나리오별로 10조원∼24조원
― 도입 10년 후인 2021년에는 시나리오별로 23조원∼59조원 내외에 이를 전망 (명목 가치 기준)
□ 한국형 헤지펀드는 당분간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
― 높은 헤지펀드 운용업자 인가 기준, 헤지펀드 설정 및 등록지로서의 매력도 등을 고려해 볼 때 당분간 외국인들이 국내에 한국형 헤지펀드를 적극적으로 설정하기는 어려운 상황 ― 신생 헤지펀드 또는 소규모 헤지펀드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 특히 국제적 기관투자자들의 거부감을 고려해 볼 때, 한국형 헤지펀드가 외국인 투자자들을 유치하는 것도 당분간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
― 다만 투자에 대한 지리적 이점이 분명 존재하기 때문에 일정수준의 트랙레코드가 축적되면 한국내 자산에 투자하는 한국형 헤지펀드는 어느정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
□ 한국형 헤지펀드의 도입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국내 금융시장 및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금융투자업계의 구도 변화: 우선 증권업계에서는 초기에 프라임브로커 영업권을 획득하는 회사들이 압도적인 자본력을 기반으로 국내 투자은행업무를 선점하는 등 양극화 현상이 본격화될 전망이며, 자산운용업계 역시 헤지펀드 운용 영업권 획득 여부에 따라 인력 및 운용 노하우 측면에서 회사 간에 많은 격차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
― 기존 일반 공사모 펀드 시장 구축 효과: 업계의 헤지펀드 부문으로의 자원 집중 및 적극적 마케팅, 헤지펀드 운용성과에 대한 과도한 기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투자자들이 기존 펀드시장에서 이탈해 헤지펀드로 쏠리는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
― 자산운용인력 및 전략의 혁신: 성과보수 체계라는 확실한 유인구조로 우수한 인력이 양성되고 다양한 투자전략이 정착되면, 자산운용업계 전반의 경쟁력이 제고
― 주식시장 변동성 및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단기적으로는 주식시장 변동성을 키울 가능성도 있지만 투자전략 및 투자지역이 다양화되면 오히려 변동성을 낮추는 효과가 기대되며, 펀드 및 운용업자를 규제체계 내에 포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전망
― 외국 헤지펀드에 의해 초래되는 외환시장 부작용 완화: 한국형 헤지펀드의 투자자 및 자금대여자가 대부분 내국인으로 국한될 전망이기 때문에 외국 헤지펀드에 의해 초래되는 외환시장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한국형 헤지펀드 도입 초기에는 시장형성에 대한 과도한 기대보다는 튼튼한 하부구조 구축에 주력할 필요가 있음
― 업계에서는 인력 및 운용 노하우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정부에서는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한국형 헤지펀드에 의해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을 파악하고 대비할 필요
― 다만, 한국형 헤지펀드가 이미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 헤지펀드와는 차이가 있다는 측면에서 막연한 불안 심리는 가질 필요가 없음
※ 유첨 :“한국형 헤지펀드의 미래와 영향”이슈페이퍼 및 요약문 각 1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