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ENG

연구원 소개

조직 및 연구위원

프로필

전화
02-3771-0632
이메일
dna0214@kcmi.re.kr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2000.8)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1994.2)
경북대학교 경제학 학사(1990.2)
경력
자본시장연구원 펀드연금실 선임연구위원(2015.4~현재)
자본시장연구원 펀드연금실 실장(2018.12~ 2020.11; 2012.1~2015.7)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 visiting scholar(2015.8~2016.7)
자본시장연구원 금융투자산업실/펀드연금실 연구위원(2007.4~2011.12)
예금보험공사 연구위원(2000.9~2007.4 )
쌍용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1994.3~1997.5)
국민연금 리스크관리위원회(2021.12~현재)
금융위원회 분담금관리위원회(2021.9~현재)
고용노동부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 추진 자문단(2021.4~현재)
산업은행 정책형 뉴딜펀드 운영위원회(2020.10 ~현재)
국토교통부 주택도시기금 위험관리위원(2020.1 ~현재)
우정사업본부 우체국보험적립금분과위원회(2018.12~ 현재)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매각소위원회 위원(2018.11~ 2020.11)
금융위원회 보험 자본건전성 선진화 추진단 위원(2018.11~ 현재)
한국예탁결제원 자금운용위원회 위원((2018.3~ 2021.3)
농지관리기금 성과평가위험관리위원회 위원(2018.3~ 2021.12)
서민금융진흥원 자금운용위원(2017.7~ 현재)
영화발전기금 자산운용위원(2017.7~ 2021.12)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상품위원회 심의위원(2017.5~ 현재)
정보통신진흥기금 자산운용위원 (2017.1~ 현재)
기획재정부 기금운용평가단 평가위원(2017.1~ 2019.12)
국무총리실 일몰규제심사단 위원(2019)
국민체육진흥기금 리스크관리위원(2017.9~ 2020.3)
20대 국회 기업사회적책임정책연구회 자문위원(2016.12 ~ 2020.5)
20대 국회 사회책임투자정책연구회 민간자문위원(2016.9 ~ 2020.5)
금융위원회 금융개혁자문단 자문위원/연금자산운용분과 간사(2015. 3 ~ 2015.12)
기획재정부 사적연금정책협의회 위원(2014 ~ 2016)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자문위원(2014 ~ 2017)
공정거래위원회 경쟁정책 자문위원(2014~ 2016)
한국증권금융 경영자문위원회 위원(2013.2 ~ 2015.7)
행정자치부 공직자 주식백지신탁심사위원회 위원 (2012.9 ~ 2014.9)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성과평가보상전문위원회 위원(2012 ~ 2014)
한국증권금융 투자자예탁금 운용위원회 위원(2008 ~ 2011)
외교통상부 한미 FTA 금융분과 자문위원(2006)

보고서

오피니언

미국 바이든 정부의 퇴직연금 개혁과 시사점 / 2023. 07. 24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변화로 평가받는 바이든 정부의 2022년 퇴직연금 개혁은 2006년 운용 개혁 성공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장수위험관리와 사각지대 해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월연금수령액 고지 의무화, 종신연금 편입 유인 확대, 종신연금사업자 수탁자책임 면제, 최소의무인출완화 등은 우리나라 연금화 논의가 IRP 인출 제한에 머물지 않고 보다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시간제 근로자의 퇴직연금 가입 대폭 허용, 신규 401(k) 강제 자동가입제도, 고용주에 대한 전폭적인 세제혜택 등은 우리나라 사각지대 해소정책에서 가입요건 완화와 고용주 보상의 병행 필요성을 함의한다. 한편 미국의 연금개혁 경험은 운용 개혁의 선행적 성공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미국이나 한국 같은 임의 제도 아래서는 운용수익률에 대한 신뢰가 없으면 연금화와 사각지대 해소정책은 동력을 가질 수 없다. 아울러, 사회보장기금 고갈과 고령화, 인플레이션으로 높아진 노후 불안도를 정치적 합의가 어려운 공적연금 개혁 대신 초당적 지지가 가능한 퇴직연금 개혁에 동력으로 활용하며 퇴직연금에서 먼저 비전을 제시하는 미국의 연금개혁전략은 우리나라 연금개혁 방법론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준다.
탄소중립을 위한 EU의 배출권거래제 개편과 국내 시사점 / 2023. 01. 02
에너지 위기에도 선진국의 탈탄소 기조는 유지되는 가운데 최근 EU 배출권거래제(ETS) 혁신안이 잠정 합의되었다.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기제로 평가받는 EU ETS의 개편안은 2023년 예고된 국내 배출권거래제(K-ETS) 개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무엇보다, NDC 감축목표 상향(2030년 40%)으로 K-ETS 허용배출총량(CAP)의 대폭 감축이 예상되며, 이에 따른 수급불균형 완화 수단으로 EU 같은 시장안정‘예비분’제도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특히, 예비분을 공급망관리(scope3)나 ESG 등 외부감축과 적극 연계할 경우, NDC 이행은 물론 기업의 넷제로 활동에도 상당한 인센티브가 될 것이다. 또한 ETS와 연계된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국내 할당정책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바, 산업계도 유상할당 확대를 외면하기보다 유상할당 재정수입이 해당 산업의 저탄소 혁신투자를 위한 민관협력금융(blended finance)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심과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과 수익률 개선 과제 / 2022. 07. 25
수익률 제고를 통한 노후소득재원의 확충이라는 한국형 디폴트옵션의 도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입 의무화와 적격승인제도 등을 통해 제도 확산과 유효경쟁을 유도하되, 원리금보장상품 허용과 근로자의 디폴트옵션 직접선택(DIY) 등 장기수익률에 부정적인 요인을 최대한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부정적 요인들은 고질적인 무관심과 원리금보장상품 선택 편의를 고정화할 수 있는 만큼, 선진국의 디폴트옵션제도와 달리, 가입자 생애 설계 교육이 더욱 중요해졌다. 아울러, 디폴트옵션 TDF의 위험등급산정방식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MZ세대들이 투자성향과 관계없이 은퇴까지 장기보유할 수 있게 하고, 이직과 관계없이 포트폴리오를 계속 보유할 수 있도록 이전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폴트옵션상품의 수익률 경쟁이 촉진될 수 있도록 동태적 적격성 심사기준을 마련하여 연금사업자들이 영업행위 준거로 활용하도록 하고, 호주 방식의 디폴트옵션 별도 공시체계를 마련하여 가입자에 의한 시장규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자본시장의 변화와 발전 과제 / 2022. 01. 17
파리협정이 기후금융의 중요성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기후금융의 성장속도나 자본시장 인프라 개선 속도, 금융회사의 탄소중립 준비정도는 아직 빠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부문은 포트폴리오 넷제로(Net Zero)를 통해 산업의 탄소중립을 견인하는 고유의 금융자원배분기능이 있는 만큼, 탄소중립에 따른 기회와 위험을 관리하고 경계 짓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자본시장을 통한 기후금융의 탄소배출 감축 효율성이 주목받고 있는 바, 자본시장은 기후위험의 장기적이고 복합적 성격을 가치평가와 성과평가, 나아가 보상체계에 통합하여 기후금융의 활성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질적 지표인 ESG를 고려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의 투명성과 신뢰가 훼손되지 않도록 녹색분류체계, 평가체계, 방법론, 평가기관 등 자본시장 인프라에 대해서는 규제감독의 강화가 바람직해 보인다. 자본시장이 배출권거래로 확장되는 글로벌 흐름으로 볼 때 현ㆍ선물거래를 겸비한 배출권시장으로 발전할 경우 자본시장 입장에서는 탄소가격 지표의 활용으로 질적 지표 중심의 ESG 평가 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산업계에는 탄소 감축 비용의 예측 가능성과 감축 옵션 선택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자본시장의 변화가 산업의 탄소중립을 실질적으로 견인하기 위해서는 국내 금융투자업자들이 해외처럼 포트폴리오 넷제로 선언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포트폴리오 넷제로를 탄소중립으로 인한 규제비용으로 인식하는 시각에서 벗어나 저탄소분야로 부가가치가 이동하는 글로벌 자산시장 흐름을 따라 자산배분의 대전환을 준비하는 동시에, 그린워싱(green washing)으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는 자본시장의 발전전략이자 투자자보호 장치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용역

(단행본)
o 『 2021 한국경제 대전망』, 공저(이근 외), 21세기북스, 2020.11.
o 『 2020 한국경제 대전망』, 공저(이근 외), 21세기북스, 2019.11.
o 『 2019 한국경제 대전망』, 공저(이근 외), 21세기북스, 2018.11.
o 『 2018 한국경제 대전망』, 공저(이근 외), 21세기북스, 2017.
o 『 2017 한국경제 대전망』, 공저(이근 외), 21세기북스, 2016.
o 『 노동시장취약계층의 현실과 정책과제』, 공저, 한울, 2012.
o 『 예금보험론』, 공저(정운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자산운용, 연금, 투자은행)
o 국민연금기금의 장기 운용 성과: 평가와 과제, 학술대회 발표자료, 한국연금학회, 2018.12
o 주주권 행사와 기업의 장기가치 제고, 자본시장연구원 개원 21주년 컨퍼런스, 2018.9
o 초대형 IB 육성정책과 금융발전, 그리고 금융안정, 금융리스크리뷰, 예금보험공사, 2018. 봄호
o 스튜어드십코드와 기관투자자의 주주권 행사, 조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8.2.
o 인구구조 변화와 주식시장: OECD 경험, 연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6.12
o 영국과 미국의 자문업 개혁의 시장 영향과 시사점, 금융위, 금감원 합동 IFA 설명회, 2016.12
o 영국과 일본의 ISA 제도의 발전과 시사점, 금융투자협회 출입기자단세미나, 2016.12
o 인구구조 변화와 주식시장: 고령인구의 영향을 중심으로, 자산운용사장단 발표자료, 2016.11
o 금융상품 자문업 활성화 방안, 학술연구용역, 금융위원회, 2015.12
o 연금화 확대와 연금자산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금융연구원,보험연구원 공동, 학술연구용역, 금융위원회, 2015.12
o 금융중개의 발전과 사모펀드의 역할, 자본시장연구원 조사보고서, 2015.7
o 기관투자자의 대체투자 활성화 방안, 학술연구용역, 기획재정부, 2015.6
o 공모펀드 규제체계 개선 방안 연구, 학술연구용역, 금융위원회, 2014.8
o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의 영향과 대응과제, 증권사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 2014.10
o 사적연금 활성화 방안, 학술연구용역, KDI, 노동연구원, 기획재정부, 2014.9
o 고령화 시대의 금융시스템 역할과 발전 방향, 위클리, 자본시장연구원, 2014.5
o 자산운용산업의 중장기 발전 과제와 전략, 재무학회 공동 정책심포지움, 2014.5
o 퇴직연금 자산운용규제 합리화 방안, 정책세미나, 금융투자협회, 2014.7
o 연금사회와 자산운용산업의 미래: 2020 중장기 전망, 연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2013.12
o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사모펀드 제도 개편 방안, 공청회, 금융위원회, 2013.12
o 대체투자펀드의 시장 환경과 활성화 방안, 자산운용사 사장단세미나, 금투협, 2013.12
o 국내 투자자문업 현황과 발전 과제, 투자자문사 사장단 세미나, 금투협, 2013.12
o Institutional investors of Korea: current satus and challenges, FMA conference, 2013.10
o 은행에 대한 투자일임업 허용의 문제점, 자본시장위클리, 자본시장연구원, 2013.8
o 공정경쟁과 투자자보호를 위한 개별법상 펀드의 규제체계 개선, 연구용역, 금융위, 2013.7
o 아시아 주요국의 펀드산업 현황 조사, 조사보고서, 2013.7
ㅇ 자산운용산업의 재도약: 진단과 정책과제, 공청회 발표자료, 2013.1
ㅇ 2013 자본시장 전망세미나: 자산운용업, 자본시장 전망세미나,2013.1
ㅇ 『 국내펀드의 역외판매를 위한 제도 및 인프라 정비』, 금융위/금투협/예탁결제원 연구용역, 2012.12
ㅇ 『 국내 주식형 펀드의 투자효율성과 비용결정요인』, 공동, 연구보고서, 2012.12
ㅇ 미국 투자자자문회사의 ETF투자현황과 시사점, KODEX 10주년 세미나 발표자료, 2012.10
ㅇ 금융계열사의 계열거래 현황과 정책과제, 금융위 기자단세미나 발표자료, 2012.10
ㅇ 『 투자자문일임업 종합 발전 방안』, 학술연구용역, 금융위/금투협, 2012.6
ㅇ 변액보험의 투자성을 고려한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방안, 자본시장위클리, 자본시장연구원, 2012.5.
ㅇ 자산운용산업의 현황, 과제 그리고 미래전략, 자본시장CEO포럼 발표자료, 자본시장연구원, 2012.5
ㅇ 간접투자상품의 투자자보호 현황과 정책 과제, 정책세미나 발표자료, 한국금융소비자학회 정책심포지움, 2012.5
ㅇ 『기관투자자의 주식투자실태와 투자자별 제도 개선』, 학술연구용역, 한국거래소,금융투자협회, 2012.4
ㅇ 2012년 자본시장 전망: 자산운용업, 자본시장전망세미나 발표자료, 자본시장연구원, 2012.1.
ㅇ 『 자산운용산업내 각종 상품 및 서비스의 규제체계 및 개선방안 연구』, 금융위원회 학술연구용역, 2011.12.
ㅇ 주요국 탄속배출권 예탁결제인프라 현황과 국내 도입 방향, 한국예탁결제원, 2011.12
ㅇ 고령화시대 중저소득층 자산관리서비스체계의 설계, 자본시장위클리, 자본시자연구원, 2011.11.
ㅇ 자산관리산업의 발전과 노후소득보장체계의 재구축, 자본시장위클리, 자본시장연구원, 2011.6.
ㅇ 랩어카운트와 뮤추얼펀드의 균형적 성장, 자본시장 perspective, 자본시장연구원, vol.3,no.2, 2011.
ㅇ 『자산관리서비스 발전을 위한 적극적 맞춤성 요건에 관한 연구』, 학술연구용역, 금융위/금투협, 2011.5.
ㅇ『온실가스 의무저감 등에 대한 공시감독체계 개선 방안』, 학술연구용역, 금융위원회, 2011.1.
ㅇ 『자산운용회사의 리스크 지배구조 선진화 방향』, 금융감독원 펀드리스크관리 선진화 워크숍, 2010.12.
ㅇ 『국고 일시자금의 효율적 운용방안과 성과평가지표 연구』, 학술연구용역, 기획재정부, 2010.11.
ㅇ 『에너지 환경 헤지펀드』, 공저, 녹색금융연구회 워킹리포트, 자본시장연구원, 2010.11.
ㅇ 『금융투자회사의 자산관리서비스 발전 과제』, 이슈페이퍼, 자본시장연구원, 2010.10.
ㅇ 국내 랩어카운트 발전 과제 자본시장 Weekly, 자본시장연구원, 2010.10.
ㅇ『정책금융의 효율적 자금배분방안』, 기획재정부 학술연구용역, 2010.8.
ㅇ『 기후변화와 탄소금융』, 사회책임투자연구회 공저, 자본시장연구원,2010.6.
ㅇ 오바마 금융개혁과 대마불사(TBTF)정책, 자본시장 weekly, 자본시장연구원.
ㅇ 금융위기 이후 중국금융시스템 발전전망, 중국금융시장포커스, 자본시장연구원,2010.4
ㅇ 사회책임투자(SRI)와 저소득층 서민금융, 자본시장 perspective, 2010, Vol.2, No.1, 자본시장연구원.
ㅇ 탄소시장의 발전과 금융의 역할, 월간 하나금융,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10.2.
ㅇ 환헤지가 기업가치를 높이는가?, (공동) 한상범, 2010 경제학공동학술대회 금융학회 발표자료, 2010.2.
ㅇ CMA 전망과 주요 이슈, 2010 자본시장 전망 세미나 발표문, 자본시장연구원, 2010.1
ㅇ 금융상품판매전문업법 도입 이후 금융투자회사의 대응전략, 금융투자협회, 2009.12.
ㅇ CMA와 지급결제 : 그 오해와 진실 , 자본시장 Weekly, 2009.12.
ㅇ 『해외 탄소배출권시장 동향 및 국내 육성방향』, 공저, 사회책임투자연구회 워킹리포트 09-02, 2009.11, 자본시장연구원.
ㅇ 외화유동성위기의 미시구조와 정책방향, 2009년 정책세미나 발표문, 한국경제발전학회,2009.10.
ㅇ A New Macro-Financial System for a Stable and Crisis-resilient Growth in Korea, coauthered with Keun Lee et al., The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Seoul Journal of Econom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Oct. 2009.
ㅇ 금융위기 이후 거시건전성감독체계의 개선 방향, 자본시장Weekly, 자본시장연구원
ㅇ 『 금융투자회사의 성과보상체계에 관한 연구』, 공저, 금융투자협회 학술연구용역, 2009.6. 자본시장연구원.
ㅇ 금융위기 이후의 연금개혁 논의와 시사점, 자본시장 Weekly, 자본시장연구원.
ㅇ 『금융투자회사의 자기자본규제제도 연구』, 공저, 연구보고서 09-02, 한국자본시장연구원.
ㅇ 국내 IB산업 발전을 위한 리스크관리정책, 월간 『KRX』, 2009년 3월, 한국거래소.
ㅇ 불완전판매와 투자자보호제도에 관한 소고, 자본시장weekly 09-04, 한국증권연구원
ㅇ 『자통법 도입에 따른 투자자보호기금 개선방안 연구』, 한국증권금융, 2008.12.
ㅇ 『선진 자산운용회사의 경영전략과 시사점』, 조사연구보고서 08-3, 한국증권연구원.
ㅇ 『금융투자지주회사 제도 도입 방안』, (공저), 이슈페이퍼 08-03,한국증권연구원.
ㅇ 2008 금융위기와 자본시장 규제체제의 변화, 자본시장 weekly, 08-39, 한국증권연구원.
ㅇ 『Big Bang in Capital Market』, co-authoered, 2008, Jimoondang.
ㅇ 자본시장통합법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공저)『증권』, 한국증권업협회, 2008 가을.
ㅇ 펀드 오브 헤지펀드 『헤지펀드 투자전략 연구(1)』, 한국증권연구원,2008.8.
ㅇ 선진 자산운용업의 MA 특성과 시사점, 월간『상장』, 상장사협의회, 2008.6.
ㅇ 자통법 이후 자산운용산업의 발전전략과 MA, 자본시장weekly, 2008-23호, 한국증권연구원
ㅇ『증권회사의 자기자본규제제도 연구』, 금융위/증권업협회 연구용역, 2008.3
ㅇ 투자은행지주회사 제도의 도입 필요성, 자본시장 weekly, 2008-13호, 한국증권연구원
ㅇ 국내 자산운용업의 경쟁구조와 MA 압력, 『자본시장포럼』, 2008년 겨울호, 한국증권연구원
ㅇ 자산운용회사의 자본규제 선진화, 자본시장Weekly, 2008-02호, 한국증권연구원
ㅇ『한국형 투자은행모델의 구축 방안』, 한국산업은행 연구용역, 2007.12

(예금보험 및 은행업)
ㅇ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Banks during crises, with Joong Woo lee, Jooyoung Kwak,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Dec.2014, Vol 23(6)
ㅇ 예금보험기금의 예상손실규모 추정 : 은행산업 중심으로, 『금융안정연구』 제 10권 제 1호, 예금보험공사, 2009.6.
ㅇ 『예금보험론』, (공저) 정운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ㅇ “은행의 대형화, 겸업화가 은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 오완근, 김형식,『금융안정연구』제 8권 1호, 예금보험공사, 2007.
ㅇ “예금자에 의한 시장규율 연구”, 『금융안정연구』제 7권 2호, 예금보험공사, 2006
ㅇ『대형화시대의 예금보험제도』, 조사분석자료 2006-2, 예금보험공사, 2006.
ㅇ “예금보험기금의 개념 및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학회 5월 학술대회, 2006.
ㅇ “금융그룹에 관한 통합감독과 자본규제”, 『금융리스크리뷰』제 3권 제 1호, 예금 보험공사, 2006.
ㅇ “한미 FTA 협상을 통해 본 국경간거래와 투자자보호”, 『금융리스크리뷰』제 3권 제 2호, 예금보험공사, 2006.
ㅇ “해외 금융그룹의 현황과 시사점”, 월간『금융』, 전국경제인 연합회, 2006년 3월
ㅇ “금융그룹화 현상과 금융시스템 안정성”, 『경제발전연구』제 11권 2호, 한국경제 발전학회, 2005.
ㅇ “IRB 방식에 의한 신용등급과 전이행렬 추정”, 김명직, 신성환(공저), 『선물연구』 제 13권 제 2호, 한국선물학회, 2005.
ㅇ “해외 선진은행의 서민금융(Micro-credit) 참여와 시사점”, 예금보험공사, 2005.
ㅇ 예금보험공사 금융업종별 위험지수(Risk Index) 및 은행 신용위험 Stress test 모형 개발(채권연구원 공동, 2005년)
ㅇ “미국 은행그룹의 private equity investment와 금융감독”, 계간 『금융리스크리뷰』창간호, 예금보험공사, 2004.
ㅇ “예금보험요율 차등화에 관한 제도적 검토”, 『KDIC금융연구』, 제 5권 1호, 예금보험공사, 2004.
ㅇ “미국과 EU에서의 은행 통합과 수익성 영향” CEO Report, 04-13, 예금보험공사, 2004.
ㅇ “ROE로 본 은행의 경영전략”, CEO Report, 04-17, 예금보험공사, 2004.
ㅇ “초대형 은행합병과 규제규율 논의”, CEO Report, 04-20, 예금보험공사, 2004.
ㅇ “BaseⅡ 도입에 따른 은행-기업관계의 변화”, CEO Report, 04-15, 예금보험공사, 2004.
ㅇ “BaselⅡ가 금융감독과 예금보험에 미치는 영향“ 금융분석정보, 03-25, 예금보험공사, 2003.
ㅇ 예금보험공사 일반은행 위험평가모형 개발(채권연구원 공동, 2003년)
ㅇ 예금보험공사 상호저축은행 부실예측모형 개발(채권연구원 공동,2002년)
ㅇ “예금보험과 사전적 위험관리”, 계간 『KDIC 금융연구』 제 3권 2호, 여름, 예금보 험공사, 2002.
ㅇ “미국 저축대부조합(SL)의 구조조정자금 관리 방법”, 계간 『KDIC 금융연구』 제 2권 2호, 여름, 예금보험공사, 2001.
ㅇ 예금자우선변제와 부실은행 정리비용“, 계간 ??KDIC 금융연구?? 제 2권 1호, 봄, 예금보험공사, 2001.

(지배구조)
o 주주총회 활성화를 위한 전자투표 중장기 발전방안, 학술연구용역, 예탁결제원, 2018. 10
o 기업지배구조와 기관투자자 의결권, 자본시장weekly, 자본시장연구원, 2011.2.
ㅇ 『중소상장회사 사외이사의 효율적 운영 방안』, 공동, 학술연구용역, 금융감독원, 2010.11.
ㅇ 『금융회사 기업지배구조 개선 방안 연구』, 공동, 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10.11.
ㅇ『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녹색금융』, 공저, Working Report 09-01, 한국자본시장연구원, 2009.4.
ㅇ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고찰(1)』, 공저, Working Report 08-04, 한국증권연구원, 2008.9.
ㅇ “기업지배구조 개혁: 평가와 과제”, 『3만불시대를 위한 국가경제 재구조화 전략』, 경기개발연구원, 2006.
ㅇ “Valuation effects of equity investment, co-authored with Taehong, JINN, prepared for The Ninth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East Asian Economic Association,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Kong, 13-14, November, 2004.
ㅇ “기업 출자의 효율성에 관한 실증연구“, 진태홍(공저), 『재무연구』 제 16권 2호, 한국재무학회, 2003.
ㅇ “은행 소유구조와 민영화”, 『경제발전연구』 제 8권 제 2호, 이건범 (공저), 한국경 제발전학회, 2002.
ㅇ “자본시장과 기업의 통제권 가치”,『금융연구』 15권 2호, 한국금융연구원, 2001.
ㅇ “재벌의 전략적 다각화 성장과 재무위험”, 『경제발전연구』 제 7권 제 1호, 한국경제발전학회, 6월, 2001.
ㅇ “90년대 한국 은행산업의 위험과 도덕적 해이”, 계간 ??KDIC 금융연구?? 제 1권 3호, 겨울, 예금보험공사, 12월, 2000.
ㅇ 『한국기업의 자금조달 선택과 기업지배구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월, 2000.

(우리사주제도)
o 우리사주와 퇴직연금연계방안 연구, 학술연구용역, 한국증권금융, 2018. 12
o 국민소득 향상을 위한 우리사주제제도 발전 방안, 학술연구용역, 국민경제자문회의, 2014.12
o중소 비상장 기업의 우리사주제도 활성화 방안, 학술연구용역, 고용노동부, 2014.11
ㅇ 근로중산층 경제안정을 위한 원금보장형 우리사주제도 도입 정책세미나, 고용노동부 공동, 2012.11
ㅇ 우리사주 손실보전 방안, 세미나발표자료, 고용노동부 우리사주정책세미나, 2011.12.
ㅇ 근로자 재산형성 지원을 위한 원금보장형 우리사주제도와 대여제도 도입 연구 용역, 학술연구용역, 한국증권금융 우리사주지원센터, 2011.
ㅇ 『 자본시장을 활용한 원금보장형 우리사주제도 도입 방안』, 이슈페이퍼 09-05, 자본시장연구원, 2009.12.
ㅇ 노사관계 선진화와 자본시장을 통한 해법: 원금보장 ESOP과 EBO, 자본시장연구원 출범세미나 발표자료, 2009.3.

(혁신금융)
ㅇ 정책금융이 혁신기업의 혁신투자에 미치는 영향, 2011 경제학공동학술대회 금융학회 발표문, 2011.2.
ㅇ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금융시스템 설계”, 『동향과 전망』 통권 65호, 한국사회과학연구소, 2005.
ㅇ “지역혁신체제와 금융인프라”, 한국사회경제학회 2004년 봄 학술대회 발표문, 2004.

기타활동

대외활동 

(태스크포스)
자산운용산업 육성 TF(금융위, 2017), 금융중심지활성화TF(금융위, 2017)
사적연금 활성화 T/F(기획재정부, 2014), 우리사주제도개선 TF(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 2014)
금융위원회, 사모펀드규제체계개선 TF(2014 ), 금융비전 자산운용연금분과 TF(2014 ),
고령화 대비 종합자산관리 활성화 T/F(2013), 펀드산업 투자자보호 종합대책 TF(2013),장기세제혜택펀드도입TF( 2012 ),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제정 T/F(2011), 시스템적으로중요한금융회사(SIFI) 규제 T/F(2011), 펀드 판매채널 다각화 T/F(2011), 랩어카운트 제도 개선 T/F(2011)



수상내역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표창(2014)